장점은 ~뒤에 말하기
같은 말을 하더라도 사람들은 마지막에 들은 말을 더 임팩트 있게 생각합니다.
예: 좋은 사람인데 낯을 가려 vs 낯은 가리지만 좋은 사람이야
의견을 듣고 싶을 때
긴장해서 말을 잘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, 그윽한 시선으로 메세지를 보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 자연스럽게 발언을 요구하는 부드러운 행위입니다.
구체적인 화법
인간의 뇌는 부정형으로 단언하듯 말하는 것 보다는 구체적 개념으로 말할 때 훨씬 잘 먹히고 효과가 좋습니다.
예: 지각하지마! vs 10분 일찍 오세요~
긍정적인 서술어 사용하기
같은 말이라도 부정적인 서술어보다, 긍정적인 서술어 사용하기, 말이 사람의 이미지에 영향을 줍니다.
예: 1시까지는 안돼요. vs 1시 이후부터는 가능합니다.
급하게 행동 하고 있는 사람 대하는 방법
'잠깐','진정해' 라는 말보다 기침, 큰 동작으로 자세를 바꾸는 등 주위를 자연스럽게 환기시키는행동을 하면, 급했던 상대방도 안정을 찾게 된다.
'아니면'의 기술
같은 말을 해도 상대방은 '아니면'뒤에 오늘 말을 따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. 만약 원하는게 있다면 '아니면~' 뒤에 원하는 말을 붙여서 해봅시다.
과장하지않기 사실에 입각해서
극단적인 표현은 대화상대방의 극단적인 반응만을 유발하기 마련입니다.
개인에 대한 감정보단 상황에 포커스를 맞춰 정확한 정보와 실제 상황에 근거를 두고 말해야 합니다. 그래야 뒷탈이없습니다.
7:3의 법칙
상대방과 대화 나눌 때 70%는 들어주고 나머지30%만 말해보도록 하세요. 호감을 얻는 대화에 있어 충분히 성공했다고 봐도 됩니다.
마지막으로 다 아는 부분이시겠지만.
상대방을 더 위로 본다는 느낌을 주어 상대방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화법중에 하나 단, 상대방이 절대 모를 것 같은 말이라면 비꼬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으니 시의적절하게 사용합시다.
손절 전 체크리스트6
어떠한 일로 손절각이 섰다면, 최후의 통첩 전 체크해보기
▷객관적으로 볼 때 사소한 일인가?
▷참고 넘어간다면 지속적으로 벌어질 일인가?
▷그 행동은 의도적? 무의식적? 애정의 표시? 구분짓기
▷일의 전후 상황은 어떻게 되는가?다시 객관적 점검
▷향후에 노력한다면 변화의 가능성이 있나?
▷손절 후 벌어질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가?
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의 대화방식중 한가지 팁
어떠한 말 이든 무조건 말이 끝날때 까지 들어 주는 것입니다. 절대로 먼저 상대방의 이야기를 끊는 법이 없습니다.
화제가 완전히 다른 곳으로 돌아가더라도 절대 끊지 않고 끝까지 기다리는 것 입니다.
이러한 대화방식은 쉽지 않겠지만 대화하는 상대방에게 신뢰를 얻고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입니다.
댓글